Python(2)
-
파이썬에서의 문자열
같은 결과를 반환한다. 두가지의 인용부호가 있는 이유 : 인용부호가 포함된 문자열을 만들기 위해 세개의 단일 인용부호 혹은 세개의 이중 인용부호를 사용할수도 있다. 세개의 인용부호는 아래와같이 여러줄의 문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 poem이라는 변수를 그냥 출력했을 경우, 줄바꿈 문자가 표시되어 나오게 되고, print()함수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줄바꿈 문자가 적용되어진 문자가 출력되게 된다. +결합에 대해서, 위와같이 +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합칠수 있다. 또 문자열 변수가 아닌 위처럼 리터럴 문자열의 경우 +연산자 없이도 결합이 가능하다. 파이썬은 문자열을 결합할 때 공백을 자동으로 붙이지 않는다. 그래서 위 예제처럼 명시적으로 공백을 넣어준다. 하지만 print()함수는 각 인자 사이에 ..
2019.09.28 -
숫자, 문자열, 변수 에 대하여
1. 변수, 이름, 객체 파이썬에서는 모든 것( 부울, 정수, 실수, 문자열 ,데이터 구조, 함수, 프로그램) 이 객체 (Object)로 구현되어 있다. -> 이것은 스크립트언어(동적언어)의 공통점인것 같다. 자바스크립트도 그랬으니... 파이썬은 객체의 타입을 바꿀수 없는 강타입 이다. -> 이것은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 모르겠다. 간단한 테스트를 해봤는데 이경우를 말하는게 아닌건가.. 공부하다보면 알게 되겠지 ㅋㅋ [설명] 이 경우 인데, 내가 이해하기로는 한번 변후의 타입이 결정되면 타입을 변경할 수 없다는 말인것 같았는데 너무 자연스럽게 int -> str 타입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객체의 타입을 바꿀수 없는말이 무슨말일까 ?? 변수는 단지 이름 일 뿐이다. 할당한다는 의미는 값을 복사하는것이 아니다..
2019.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