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에서의 문자열

2019. 9. 28. 16:40Python

단일 인용부호와, 이중 인용부호의 차이점

같은 결과를 반환한다.

두가지의 인용부호가 있는 이유 : 인용부호가 포함된 문자열을 만들기 위해

 

세개의 단일 인용부호 혹은 세개의 이중 인용부호를 사용할수도 있다.

 

세개의 인용부호는 아래와같이 여러줄의 문장에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다.

poem 이라는 변수에 여러줄의 문장을 초기화 하였다.

poem이라는 변수를 그냥 출력했을 경우, 줄바꿈 문자가 표시되어 나오게 되고,
print()함수를 사용했을 경우에는 줄바꿈 문자가 적용되어진 문자가 출력되게 된다.

+결합에 대해서,

위와같이 +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합칠수 있다.
또 문자열 변수가 아닌 위처럼 리터럴 문자열의 경우 +연산자 없이도 결합이 가능하다.

파이썬은 문자열을 결합할 때 공백을 자동으로 붙이지 않는다. 그래서 위 예제처럼 명시적으로 공백을 넣어준다. 하지만 print()함수는 각 인자 사이에 공백을 붙인다. 그리고 마지막에는 줄바꿈 문자를 붙인다.

 

문자열 복제하기

*연산자를 사용하여 문자열을 복제할수 있다.

위 코드에서 또 볼수있는 사실은, print()함수에서 인자들을 +연산자로 결합하여주면 여러개의 인자를 넣는것과 다른 결과를 갖는것이다. (어떻게보면 당연한 이야기..)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숫자, 문자열, 변수 에 대하여  (0) 2019.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