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문자열, 변수 에 대하여
2019. 9. 21. 18:11ㆍPython
1. 변수, 이름, 객체
- 파이썬에서는 모든 것( 부울, 정수, 실수, 문자열 ,데이터 구조, 함수, 프로그램) 이 객체 (Object)로 구현되어 있다.
-> 이것은 스크립트언어(동적언어)의 공통점인것 같다. 자바스크립트도 그랬으니... - 파이썬은 객체의 타입을 바꿀수 없는 강타입 이다.
-> 이것은 어떤 경우를 말하는지 모르겠다. 간단한 테스트를 해봤는데 이경우를 말하는게 아닌건가.. 공부하다보면
알게 되겠지 ㅋㅋ
[설명]
이 경우 인데, 내가 이해하기로는 한번 변후의 타입이 결정되면 타입을 변경할 수 없다는
말인것 같았는데 너무 자연스럽게 int -> str 타입으로 변경이 가능하다.
객체의 타입을 바꿀수 없는말이 무슨말일까 ??
- 변수는 단지 이름 일 뿐이다. 할당한다는 의미는 값을 복사하는것이 아니다. 데이터가 담긴 객체에 그냥 이름을 붙이는 것이다. 그 이름은 객체 자신에 포함되는 것이라기보다는 객체의 참조이다.
-> 자바를 처음 공부할때 이 부분을 이해하기위해 노력했던 때가 생각난다. 지금 생각해 보면 참조라는 단어라 어색해서 이해하기 힘들었던게 아닌가 싶다.
참조의 사전적 의미 : 참고하여 서로 빗대어 봄.
한글의 뜻과는 조금 다른 의미를 갖는데, 단순히 주소값이라고 외웠었던것 같다.
[설명]
이 과정에서 b라는 변수에 a변수가 참조하고 있는 7이라는 데이터가 할당되어지는 것이 아닌,
b라는 변수에 a라는 변수가 들고있는 참조값(주소값)을 할당한다는 것이다.
즉 b에는 7이라는 데이터가 저장되어있는 메모리상의 주소값이 할당되어 b 와 a 는 메모리상에서 같은 위체에 존재하는 7 이라는 데이터를 가리키게 되는것이다.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에서의 문자열 (0) | 2019.09.28 |
---|